발음1 경음화(된소리되기) 1 이 포스팅은 '한국어 표준 문법', 유현경 외 9명, 집문당을 바탕으로 작성하고 개인적 의견을 첨부하였습니다. 두 소리가 연결될 때 평음이 경음으로 대치되는 현상을 경음화라고 한다. 경음화는 아래에서 보듯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유형이 존재한다. 경음은 된소리로 우리말의 자음 체계에서 예사소리 - 된소리 - 거센소리의 3항 대립을 이루는 소리 중의 하나이다. 학교에서는 주로 '된소리되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쌍자음을 사용하여 표기하는 소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경음화는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각 환경을 차근차근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1) 국밥[국빱], 집과[집꽈] (2) 신다[신:따], 감고[감:꼬] (3) 먹을 수[머글 쑤], 갈 사람[갈 싸람] (4) 발달[발딸], 몰수[몰쑤], 물정[.. 2022. 12.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