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ght: 독서교육9 수능의 본질 - 수능 국어의 본질 수능의 본질 - 수능 국어의 본질 일단 아무 글이나 좀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주제가 돈이 될지를 생각하다보니까 오히려 글을 못 쓰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 그냥 아무 글이나 좀 쓰자. 내가 자신있는 주제로. 제일 먼저 생각난 게 ‘수능’에 대한 것이다. 수능의 본질이 무엇인가. 당신이 어떤 시험을 보려고 할 때는 반드시 그 출제자에 대해 생각해보라. 출제자가 당신으로부터 원하는 게 뭔지, 당신의 무엇을 평가하고 싶은 건지. 수능의 본질은 그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대학에 들어가서 학문을 배울 능력이 되는지를 평가하고자 하는 게 수능의 본질이다. 그렇다면 수능 국어 영역의 본질은 무엇일까. 세 영역을 나눠서 생각해보자면, 독서/문학/문법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독서.. 2023. 3. 1. 독서의 본질과 과정으로서의 독서,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행동주의 심리학의 관점으로부터 인지심리학의 관점으로의 변화는 독서에 대한 정의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글이라는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이해되었던 독서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새롭게 정의되었기 때문이다. 행동주의 심리학에 따른 관점은 글을 중심으로 하여 독서를 이해하는 접근법이라면, 인지심리학에 따른 관점은 독자를 중심으로 하여 독서를 이해하는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독서의 중심이 '글'로부터 '독자'로 변화된 것은 실로 매우 큰 변화여서 독서 패러다임의 변화로까지 지칭하기도 한다. 독서의 본질: 의미 구성의 과정 인지심리학의 관점이 수립된 이후로 독서의 본질은 의미 구성의 과정이라는 독서의 정의에서 찾을 수 있다. 인지심리학의 관점에 따라 수립한 독서의 정의가 독서가 가지고 있는 본원적인 특성을 반.. 2023. 1. 15. 독서를 보는 두 가지 관점,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1) 독서에 대한 행동주의 심리학적 관점 20세기 초반의 심리학은 행동주의적 경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마음의 주관적 내부 상태’를 연구 대상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음의 주관적 내부 상태란 지각, 기억, 정서와 같은 심리학적 개념을 뜻한다(Ledoux, 최준식 역, 2006:35-36).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이전 세대의 심리학자들이 주요 주제로 다루어 왔던 마음의 주관적 내부 상태를 더는 다루어서는 안 되며,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한 인간의 행동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사리 분별의 원천을 이룸으로써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사고 또는 판단의 바탕을 이루는 '의식은 객관적인 관찰이 불가능하므로 과학적인 심리 연구의 대상이.. 2023. 1. 12. 해독과 독해, 독서 능력,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2) 해독과 독해의 통합적 관계로 이루어진 독서 능력 독서 능력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독서 능력에 대한 규명은 독서 능력의 상위 개념을 언어 능력으로 정의한 연구자들의 논의로부터 출발한다. 1970년대 전 올레(John Oller)는 언어 능력에 대해 "어떠한 하위 구성 능력들로 구분할 수 없는 하나의 단일한 능력 체계라고 설명하면서 단일 능력 가설(Jnitary competence Hypothesis)을 주장하였다. 이 가설에 따르면, 언어 능력은 빈칸 메우기나 받아쓰기와 같이 총체적이고 통합적 과제로만 평가할 수 있는 단일한 능력이며, 독서 능력도 독후감이나 요약문과 같이 하나의 통합적 독서 과제로만 평가될 수 있는 단일한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부터 약 10년이 흐른 후 그는.. 2023. 1. 11. 독서 능력,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1) 독서 능력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어떻게 글을 읽을 수 있는 것일까?'라는 질문 자체가 생경할 정도로, 우리의 삶에서 독서는 매우 자연스럽고 익숙한 활동이다. 독서는 그림책을 읽으며 흥미로운 동화 속 세상으로 떠나는 것, 세상 소식을 접하기 위해 출근 버스에서 신문을 읽거나 스마트폰을 꺼내 뉴스를 찾아 읽는 것, 과제를 위해 교과서나 관련 자료들을 읽는 것,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류의 지혜가 담긴 고전을 읽으며 자신을 가다듬어 가는 것과 같이 삶의 길목 어디에서든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듯 친숙한 독서의 과정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불과 최근의 일이다. 19세기 말의 심리학자인 에드먼드 하기가 "독서라는 현상을 밝히는 것은 심리학자가 이룰 수 있는 최선의 업적"이라고 말한 것을 통.. 2023. 1. 8. 독서의 영역과 독해에 영향을 미치는 독자 요인,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독서는 독서의 목적-텍스트-독자-상황 요인이 개입된 복잡다단한 정신 작용이다. 특히 독자는 독서의 전 과정에 걸쳐 독서의 목적을 인지하고, 자신이 속한 특정한 사회문화적인 상황 속에서, 텍스트와 상호 작용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주체였다. 독서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서에 개입되는 요인과 함께 독서의 영역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독서는 흔히,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으로 나누어 그 속성을 설명한다. 독서의 인지적 영역 독서의 인지적 영역은 주로 텍스트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잘 파악하는 지적인 작용에 대한 부분이다. 독해 능력, 독해 수준, 독해 기능과 전략은 모두 독서의 인지적 영역에 해당하는 문제들이다. 오랫동안 독서교육의 기본적인 목표는 글의 내용을 잘 이해하도록 지도하는 데 있.. 2023. 1.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