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맞추기 착각 - 클루지
'초점 맞추기 착각'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단순히 사람들의 주의를 이런저런 정보로 돌림으로써 사람들의 생각을 조작하는 일이 얼마나 쉬운지를 보여준다. 간단하면서도 흥미로운 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두 질문에 대답해야 했다. 당신은 전반적으로 얼마나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당신은 지난달에 데이트를 몇 번 했습니까?” 한 집단의 대학생들은 바로 위와 같은 순서로 두 질문을 받은 반면에, 다른 집단의 대학생들은 반대 순서로 두 질문에 답했다. 그 결과 행복에 관한 질문을 먼저 들은 집단에서는 사람들의 대답 사이에 상관관계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데이트를 많이 한 사람들 가운데도 몇몇은 자기가 불행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질문의 순서를 뒤바꾸자 사람들의 초점은 분명하게 낭만에 맞추어졌다. 졸지에 사람들은 행복을 연애와 무관한 것으로 볼 수 없게 된 것이었다. 그래서 데이트를 많이 한 사람들은 자기가 행복하다고 생각했고 데이트를 많이 하지 못한 사람들은 자기가 불행하다고 생각했다. 결론적으로 말해 데이트에 관한 질문을 먼저 받은 경우에 행복에 대한 사람들의 판단은 데이트 횟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행복에 관한 질문을 먼저 받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어쩌면 여러분은 이것이 그리 놀랍게 여겨지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것은 놀라운 결과다. 왜냐하면 이것은 우리의 신념이 실제로 얼마나 무른지를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내면적인 느낌조차 우리의 초점이 마침 그때 어디에 맞추어져 있는가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 <클루지> 중
자신감이 있는 사람,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실수를 하면, "한번 정도는 괜찮아, 나중에 같은 실수를 안 하면 되지"라고 생각한다. 또 어떤 성공과 성취를 경험했을 때에는 "역시 나는 웬만한 일들은 잘 해내는 것 같아."라고 생각하며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만들어간다. 반면에, 자존감이 낮고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은 자신의 부족한 면에 집중하므로써 잘 풀릴 때는 운에,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는 자신의 노력이나 능력에 귀인하는 경향을 보인다.
우리는 어쩌면 스스로에게 가혹한지도 모른다. 다른 사람이 실수를 했을 때는 쉽게 감싸주면서 스스로의 실수는 감싸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자기 자신에게 조금만 관대해져 보는 건 어떨까. 스스로의 삶을 행복하게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긍정적 자아개념의 선순환이 중요하다.
'Insight: Exper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즐리 면도크림 정말 강추입니다. 싸고 질 좋은 면도크림 와이즐리 (0) | 2023.02.09 |
---|---|
과민성대장증후군 우유 섭취? (0) | 2023.02.03 |
마스크 권고로 변경! 세부 사항 정리해보았습니다. (0) | 2023.01.30 |
명의도용방지서비스 - 금감원에 개인정보 노출자 등록하기 (0) | 2023.01.27 |
와이즐리 영양제 세트 (0) | 2023.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