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행적유음화1 유음화 이 포스팅은 '한국어 표준 문법', 유현경 외 9명, 집문당을 바탕으로 작성하고 개인적 의견을 첨부하였습니다. 유음화는 유음인 'ㄹ'에 인접한 'ㄴ'이 'ㄹ'로 바뀌는 동화 현상이다. 조음 위치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조음 방법만 변화시키는 현상이므로 치조음인 'ㄴ'만이 유음화의 적용을 받는다. 유음화는 'ㄹ'과 'ㄴ'의 위치에 따라 순행적 유음화와 역행적 유음화를 구분한다. 순행적 유음화는 'ㄹ'이 'ㄴ'보다 앞에 오는 경우의 유음화이고, 역행적 유음화는 'ㄹ'이 'ㄴ'보다 뒤에 오는 경우의 유음화이다. 순행적 유음화는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된다. (1) 칼날[칼랄], 달님[달림], 물놀이[물로리] (2) 핥는[할는][할른], 끓는[끌는][끌른] (3) 다리를 놓다 [다리를로타], 잘 논다 [잘론다] (1).. 2022. 12.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