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술자의 개입은
서술자가 작품 속에 직접 끼어들어 자신의 목소리나 의견을 표출하는 서술 방법이다.
전지적 서술자가
인물에 대해 평가하거나
사건에 대해 판단을 내리는 것이 주로 해당한다.
서술자의 개입의 구체적인 종류는
1. 감정 노출
2. 독자에게 말 걸기
3. 서사의 흐름 끊기
4. 사건의 요약 제시
정도로 볼 수 있다.
너무 외우려고 하기보다는 고전소설의 상황에 대해 생각해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된다.
고전소설은 설화와 소설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설화는 누군가가 말로 이야기를 풀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화자가 중간중간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게 된다.
이를 통해 관객이나 청자로 하여금 사건의 긴장감을 느끼고 감정이입을 할 수 있게 한다.
반응형
따라서 고전소설을 읽을 때, 서술자의 역할에 주목하여 읽어야 한다.
현대소설과 고전소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차이 중에 하나가
서술자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술자에 대한 부분이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고전소설을 읽을 때, 서술자의 개입이 나타나는지,
편집자적 논평이 나타나는지를 위주로 읽으면
관련 문제를 푸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반응형
'Insight: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문법 2014 A형 11번 문항, 음운의 교체, 축약, 탈락, 첨가 (0) | 2023.02.02 |
---|---|
‘ㅣ’ 모음 역행 동화 (1) | 2022.12.26 |
모음의 대치, 반모음화 (2) | 2022.12.16 |
구개음화2 (0) | 2022.12.14 |
조음 위치 동화, 구개음화1 (0)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