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초점 맞추기 착각 - 클루지 초점 맞추기 착각 - 클루지 '초점 맞추기 착각'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단순히 사람들의 주의를 이런저런 정보로 돌림으로써 사람들의 생각을 조작하는 일이 얼마나 쉬운지를 보여준다. 간단하면서도 흥미로운 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두 질문에 대답해야 했다. 당신은 전반적으로 얼마나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당신은 지난달에 데이트를 몇 번 했습니까?” 한 집단의 대학생들은 바로 위와 같은 순서로 두 질문을 받은 반면에, 다른 집단의 대학생들은 반대 순서로 두 질문에 답했다. 그 결과 행복에 관한 질문을 먼저 들은 집단에서는 사람들의 대답 사이에 상관관계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데이트를 많이 한 사람들 가운데도 몇몇은 자기가 불행하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질문의 순서를 뒤바꾸자 사람들의 초점은 분명하.. 2023. 1. 17.
와이즐리 영양제 세트 안녕하세요. 이번에 설을 맞아 주변인들에게 선물하고자 와이즐리 영양제 세트를 구매했습니다. 와이즐리 영양제 세트이고, 3종입니다. 포장은 이렇게 깔끔합니다. 크기는 아이폰 13 미니와 비교해보시면 아담한 사이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담하고 포장도 두꺼운 종이로 오돌토돌하게 되어있습니다. 선물은 받았을 때 기분이 좋은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받으면 기분이 딱 좋아질 그런 느낌입니다. ㅎㅎ 세워놓고 찍어보면, 와이즐리 영양제 세트 위에 끈으로 된 손잡이가 있어서 한층 더 고급스럽게 느껴지게 합니다. 가격은 14,890원인데요, 지금은 품절이네요 ㅎㅎ 영양제 선물 세트가 이렇게 저렴할 수 있나요! ========== 저는 오래전부터 와이즐리를 사용해왔습니다. 면도날, 면도크림, 로션, 바디워시, 샴.. 2023. 1. 16.
독서의 본질과 과정으로서의 독서,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행동주의 심리학의 관점으로부터 인지심리학의 관점으로의 변화는 독서에 대한 정의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글이라는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이해되었던 독서가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새롭게 정의되었기 때문이다. 행동주의 심리학에 따른 관점은 글을 중심으로 하여 독서를 이해하는 접근법이라면, 인지심리학에 따른 관점은 독자를 중심으로 하여 독서를 이해하는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독서의 중심이 '글'로부터 '독자'로 변화된 것은 실로 매우 큰 변화여서 독서 패러다임의 변화로까지 지칭하기도 한다. 독서의 본질: 의미 구성의 과정 인지심리학의 관점이 수립된 이후로 독서의 본질은 의미 구성의 과정이라는 독서의 정의에서 찾을 수 있다. 인지심리학의 관점에 따라 수립한 독서의 정의가 독서가 가지고 있는 본원적인 특성을 반.. 2023. 1. 15.
독서를 보는 두 가지 관점,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1) 독서에 대한 행동주의 심리학적 관점 20세기 초반의 심리학은 행동주의적 경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마음의 주관적 내부 상태’를 연구 대상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음의 주관적 내부 상태란 지각, 기억, 정서와 같은 심리학적 개념을 뜻한다(Ledoux, 최준식 역, 2006:35-36).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이전 세대의 심리학자들이 주요 주제로 다루어 왔던 마음의 주관적 내부 상태를 더는 다루어서는 안 되며,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한 인간의 행동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사리 분별의 원천을 이룸으로써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사고 또는 판단의 바탕을 이루는 '의식은 객관적인 관찰이 불가능하므로 과학적인 심리 연구의 대상이.. 2023. 1. 12.
해독과 독해, 독서 능력,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2) 해독과 독해의 통합적 관계로 이루어진 독서 능력 독서 능력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독서 능력에 대한 규명은 독서 능력의 상위 개념을 언어 능력으로 정의한 연구자들의 논의로부터 출발한다. 1970년대 전 올레(John Oller)는 언어 능력에 대해 "어떠한 하위 구성 능력들로 구분할 수 없는 하나의 단일한 능력 체계라고 설명하면서 단일 능력 가설(Jnitary competence Hypothesis)을 주장하였다. 이 가설에 따르면, 언어 능력은 빈칸 메우기나 받아쓰기와 같이 총체적이고 통합적 과제로만 평가할 수 있는 단일한 능력이며, 독서 능력도 독후감이나 요약문과 같이 하나의 통합적 독서 과제로만 평가될 수 있는 단일한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부터 약 10년이 흐른 후 그는.. 2023. 1. 11.
독서 능력, 독서교육론 - 사회평론 (1) 독서 능력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어떻게 글을 읽을 수 있는 것일까?'라는 질문 자체가 생경할 정도로, 우리의 삶에서 독서는 매우 자연스럽고 익숙한 활동이다. 독서는 그림책을 읽으며 흥미로운 동화 속 세상으로 떠나는 것, 세상 소식을 접하기 위해 출근 버스에서 신문을 읽거나 스마트폰을 꺼내 뉴스를 찾아 읽는 것, 과제를 위해 교과서나 관련 자료들을 읽는 것,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류의 지혜가 담긴 고전을 읽으며 자신을 가다듬어 가는 것과 같이 삶의 길목 어디에서든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듯 친숙한 독서의 과정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불과 최근의 일이다. 19세기 말의 심리학자인 에드먼드 하기가 "독서라는 현상을 밝히는 것은 심리학자가 이룰 수 있는 최선의 업적"이라고 말한 것을 통.. 2023.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