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 모음 역행 동화
이 포스팅은 '한국어 표준 문법', 유현경 외 9명, 집문당을 바탕으로 작성하고 개인적 의견을 첨부하였습니다. 현대 국어의 일상 발화나 방언에는 앞 음절의 후설 모음 ‘ㅡ, ㅓ, ㅏ, ㅜ, ㅓ’가 바로 뒤에 오는 음절의 전설 모음 ‘ㅣ’ 또는 반모음 ‘j'의 영향을 받아 다음 예에서 보듯이 전설 모음 ‘ㅣ, ㅔ, ㅐ, ㅟ, ㅚ’로 변하는 현상이 있다. 이 경우 앞의 모음이 뒤의 모음, 특히 ‘ㅣ’에 동화되었다고 하여 ‘ㅣ’ 모음 역행 동화라고 한다. - 드리다 > [디리다], 어미 > [에미], 아기 > [애기], 죽이다 > [쥐기다], 고기 > [괴기] 다음의 모음 체계에서 ‘ㅡ, ㅓ, ㅏ, ㅜ, ㅗ’와 ‘ㅣ, ㅔ, ㅐ, ㅟ, ㅚ’를 각각 비교해 보면 전설 모음인지 아니면 후설 모음인지만 차이가 나고 ..
2022. 12. 26.
모음의 대치, 반모음화
반모음화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반모음화라고 한다. 이 현상은 다음 예에서 보듯이 ‘ㅣ’나 ‘ㅜ(또는 ㅗ)’로 끝나는 용언 어간이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일어난다. 기+어→기어→[겨:], 쑤+어→쑤어→[쒀;], 꼬+아→꼬아→[꽈:] 반모음화에는 결과적으로 실현되는 반모음에 따라 모음 ‘ㅣ’가 [j]로 실현되는 ‘j 반모음화(이-반모음화)’, 모음 ‘ㅜ’나 ‘ㅗ’가 [w]로 실현되는 ‘w 반모음화(우/오-반모음화)’가 있다. 이-반모음화는 ‘ㅣ’로 끝나는 용언 어간에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일어난다. 기+어→기어→[겨:], 비+어→비어→[벼:], 시+어→시어→[셔:] 띠+어→띠어→[뗘:], 이+어→이어→[여:] 위의 경우는 ‘[기어], [비어], [시어], [띠어], [..
2022. 12. 16.